카테고리 없음

무선 인증에 관해 / 유럽 - EN 300 328 nonFHSS(1)

츄르츕 2025. 3. 3. 21:14

🔹 Adaptivity (non-FHSS)

📌 적용 제외 조건 

비적응형 제품 또는 적응형 제품이 비적응형 모드로 동작하거나, e.i.r.p 10 dBm 이하인 경우에는 본 기술이 적용되지 않습니다.

  • 기술 개요: 무선 환경에 적응하여 간섭을 최소화하고, 효율적인 주파수 자원 활용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입니다.

 

📌 Adaptive non-FHSS using DAA (Detect And Avoid)

1️⃣ DAA 방식: 채널 내 간섭 신호가 감지되면 해당 채널의 사용을 차단하는 방식입니다.

 

2️⃣ Clear Channel Assessment (CCA): 에너지 탐지를 통해 주파수 사용 가능 여부를 평가하며, 최소 18μs 이상의 평가가 필요합니다.

 

3️⃣ 감지 임계값: 송신기 출력 전력에 비례하는 기준으로, 원치 않는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중요한 기준입니다.

  • 20 dBm e.i.r.p. 송신기: -70 dBm/MHz 이하 (0 dBi 안테나 기준)
  • 20 dBm 미만 출력: TL = -70 dBm/MHz + 10 × log10 (100 mW / Pout) (Pout: mW e.i.r.p.)

4️⃣ 채널 점유 시간: 특정 채널에서 재전송 없이 연속 전송하는 총 시간으로, 최대 40ms 미만이어야 합니다.

 

5️⃣ 휴지 기간: 채널 점유 후의 무전송 시간으로, 최소 채널 점유 시간의 5% 이상 확보되어야 합니다.

 

6️⃣ 원치 않는 CW 신호: 시험 진행 시, 규격에서 정의된 원치 않는 CW 신호에 대한 내성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.

 

📌 Adaptive non-FHSS using LBT (Listen Before Talk) 

1️⃣ LBT 방식: 전송 전에 채널을 탐색하여 간섭 신호 유무를 확인한 후, 간섭이 없는 경우에만 전송하는 방식입니다.

 

2️⃣ Clear Channel Assessment (CCA): 에너지 탐지를 통해 주파수 사용 가능 여부를 확인하며, 최소 18μs 이상의 평가가 요구됩니다.

 

3️⃣ 감지 임계값: DAA 방식과 동일한 기준을 적용합니다.

 

4️⃣ 원치 않는 CW 신호: 시험 진행 시, 규격에서 정의한 원치 않는 CW 신호에 대한 내성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.

 

 

📌 Frame based equipment 📡

  • 연속 전송 방식: 일정 시간 동안 연속 전송을 허용하는 방식입니다.
    1. 최대 채널 점유 시간: 1ms ~ 10ms
    2. 휴지 기간: 최소 채널 점유 시간의 5% 이상
    3. 다중 캐스트: ACK 전송은 연속 시퀀스로 허용됩니다.

 

📌 Load based equipment ⚙️

  • 간섭 최소화 방식: 채널 점유 시간을 제한하여 간섭을 줄이는 방식입니다.
    1. 최대 채널 점유 시간: 13ms
    2. 확장된 CCA: 채널 점유 시간 동안 간헐적으로 CCA가 수행됩니다.

 

📌 Short Control Signalling Transmissions 📲

  • 관리 및 제어 신호 전송: 적응형 non-FHSS 제품은 관리 및 제어 신호 전송에 이 방식을 활용할 수 있으며, 전송 전 주파수 감지나 다른 신호 확인 절차 없이 전송할 수 있습니다.
  • 전송 시간 비율 제한: 전체 전송 시간 중 50ms 기준 10% 이하의 비율을 유지해야 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