카테고리 없음
무선 인증에 관해 / 유럽 - EN 300 328 FHSS
츄르츕
2025. 3. 3. 20:47
🔹 주파수 도약 확산 스펙트럼 (FHSS) 제품
📌 개요
📶 FHSS 기술은 주로 Bluetooth 제품에 적용됩니다. 이는 주요 응용 분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.
📌 Adaptive / Non-Adaptive Equipment
⚙️ 적응형 장비가 간섭이 없을 때, 비적응형 모드로 전환하여 특정 주파수를 사용하는 경우, 반드시 비적응형 장비 기준을 준수해야 합니다.
📌 시험항목
🔬 RF Output Power
- 전체 FHSS 제품에 적용됩니다.
- 제품 전송 버스트 동안 e.i.r.p. 값으로 정의되며,
- 출력은 20 dBm e.i.r.p. 이하로 유지되어야 합니다.
👉 이는 모든 전력 수준 및 안테나 어셈블리 조합에 동일하게 적용됩니다.
🔬 Duty Cycle, Tx-Sequence, Tx-Gap
- 비적응형 및 적응형 장비가 비적응형 모드로 작동할 때 적용됩니다.
- 선언된 출력이 10 dBm e.i.r.p. 이하인 경우에는 해당 규정이 적용되지 않습니다.
- Duty cycle (송신 시간 대비 관측 기간 비율)은 제조업체가 선언한 값 이하이어야 합니다.
- 최대 Tx-sequence 시간(단일 또는 연속 송신)과 최소 Tx-gap 시간은 모두 5ms 이하로 제한됩니다.
🔬 Accumulated Transmit Time, Frequency Occupation and Hopping Sequence
- 모든 FHSS 제품에 적용됩니다.
- 관측 기간 동안 특정 주파수에서의 누적 송신 시간은 정해진 한도를 초과해서는 안 됩니다.
- 제품은 특정 기간 내에 각 호핑 주파수를 최소 1회 이상 사용하거나(옵션 1),
또는 특정 범위 내에서 점유 확률을 충족해야 합니다(옵션 2). - 호핑 시퀀스는 최소 N개 호핑 주파수를 포함해야 하며,
👉 여기서 N = 최대(15MHz를 최소 호핑 주파수 분리(MHz)로 나눈 값, 15) 입니다.
🔬 Hopping Frequency Separation
- 모든 FHSS 제품에 적용됩니다.
- 이는 인접한 호핑 주파수 간의 간격을 의미합니다.
- 비적응형 장비의 경우, 간격은 점유 채널 대역폭(최소 100kHz) 이상이어야 하며,
적응형 장비는 최소 100kHz 간격을 유지해야 합니다.
👉 단, 간섭 상황에 따라 예외 사항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.
🔬 Medium Utilization (MU) Factor
- 적응형 제품이 비적응형 모드로 작동하지 않거나, 출력이 10 dBm e.i.r.p. 미만인 경우에는 해당되지 않습니다.
- 이는 출력 및 duty cycle을 포함하는 공식을 통해 계산되는 전력 및 시간 사용량의 척도이며,
- 최대 10% 이하를 유지해야 합니다.